출장 복귀 때 마다 한병씩 모아 오던 면세점표 위스키가 오늘 또 한병 비워졌다.
사실 가볍게 마시기엔 위스키 보다 맥주나 와인을 선호하지만 언더락 또는 샷으로 위스키 한잔 땡기는 날이 있다. 이럴때마다 야금야금 한두잔 하다 보면 어느새 한병이 비워지는데 이번엔 실험적인 봄베이 사파이어가 그 공백을 좀 매워준 덕에 꽤나 오래갔다.
여담으로 봄베이 사파이어도 특징이 살아있는 적절한 Gin이겠으나 (이거 좀 즐겨보겠다고 코스트코에서 막 쟁여놓은 레몬쥬스들은 처치 곤란이다.) 모 부장님들의 향수 또는 스킨 냄새를 맡을 때 마다 나도 모르게 떠오르게 되는 건 좀 그리 썩 편안한 느낌은 아니다.
조니워커 블루라벨이나 발렌타인 21년산등 최고급은 아니지만 가성비 좋다는 유명한 녀석들은 접해 봤기에 어느정도 판단 할 자신이 있어서 이렇게 접근하고 있다.
확실히 좀 더 영한 위스키의 경우 싱글몰트가 좋다. 12년산 싱글몰트는 그럭저럭 즐길 포인트가 있지만 개인적으로 발렌타인 12년산은 정말 맛이 없어서 버리고 싶었는데 겨우 한병 끝까지 비운 기억이 있다.
이거 뜯기전에 마지막으로 비운게 글렌피딕 셀렉트 캐스크 Glenfiddich select cask였는데 다들 비슷한 수준에서 흔히 쉽게 접할 수 있는 싱글몰트들이다. 처음 입문하시는 분들께는 아버펠디보다는 글렌피딕을 추천하고 싶다. 묵직함은 없지만 그 가격대에 기대할 수 있는 산뜻하고 또한 부드러운 편안함에서 느껴지는 가성비는 나쁘지 않다.
그러나 이미 싱글몰트 위스키를 어느 정도 접해본 분이라면 아버펠디를 더 추천하고 싶다. 대단히 큰 변화를 느낄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Highland single malt 만의 매력이 있다.
뛰어난 맛을 찾는다면 좀 부족하겠지만 가성비를 생각하면서 적절한 맛과 향을 즐길 수 있다면 괜찮은 선택으로 생각된다. 가격은 정말 부담없이 적절한 수준. (면세가 기준)
남아 있는 봄베이 사파이어를 비우고 나면 본격적으로 18년산급 들을 공략해 볼지 아니면 오히려 Grant's와 같은 라운지 비치용을 테스트해 볼 지 고민이 된다.
사실 가볍게 마시기엔 위스키 보다 맥주나 와인을 선호하지만 언더락 또는 샷으로 위스키 한잔 땡기는 날이 있다. 이럴때마다 야금야금 한두잔 하다 보면 어느새 한병이 비워지는데 이번엔 실험적인 봄베이 사파이어가 그 공백을 좀 매워준 덕에 꽤나 오래갔다.
여담으로 봄베이 사파이어도 특징이 살아있는 적절한 Gin이겠으나 (이거 좀 즐겨보겠다고 코스트코에서 막 쟁여놓은 레몬쥬스들은 처치 곤란이다.) 모 부장님들의 향수 또는 스킨 냄새를 맡을 때 마다 나도 모르게 떠오르게 되는 건 좀 그리 썩 편안한 느낌은 아니다.
조니워커 블루라벨이나 발렌타인 21년산등 최고급은 아니지만 가성비 좋다는 유명한 녀석들은 접해 봤기에 어느정도 판단 할 자신이 있어서 이렇게 접근하고 있다.
확실히 좀 더 영한 위스키의 경우 싱글몰트가 좋다. 12년산 싱글몰트는 그럭저럭 즐길 포인트가 있지만 개인적으로 발렌타인 12년산은 정말 맛이 없어서 버리고 싶었는데 겨우 한병 끝까지 비운 기억이 있다.
이거 뜯기전에 마지막으로 비운게 글렌피딕 셀렉트 캐스크 Glenfiddich select cask였는데 다들 비슷한 수준에서 흔히 쉽게 접할 수 있는 싱글몰트들이다. 처음 입문하시는 분들께는 아버펠디보다는 글렌피딕을 추천하고 싶다. 묵직함은 없지만 그 가격대에 기대할 수 있는 산뜻하고 또한 부드러운 편안함에서 느껴지는 가성비는 나쁘지 않다.
그러나 이미 싱글몰트 위스키를 어느 정도 접해본 분이라면 아버펠디를 더 추천하고 싶다. 대단히 큰 변화를 느낄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Highland single malt 만의 매력이 있다.
뛰어난 맛을 찾는다면 좀 부족하겠지만 가성비를 생각하면서 적절한 맛과 향을 즐길 수 있다면 괜찮은 선택으로 생각된다. 가격은 정말 부담없이 적절한 수준. (면세가 기준)
남아 있는 봄베이 사파이어를 비우고 나면 본격적으로 18년산급 들을 공략해 볼지 아니면 오히려 Grant's와 같은 라운지 비치용을 테스트해 볼 지 고민이 된다.